본문 바로가기

남성암/췌장암

췌장암의 진단

췌장암은 다양한 검사를 통해 진단되며, 이를 통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췌장암 진단 과정

1. 병력 청취와 신체검사

  • 병력 청취: 의사는 환자의 병력, 가족력, 증상, 생활 습관 등을 확인합니다. 이는 췌장암의 위험 요인을 평가하는 데 중요합니다.
  • 신체검사: 의사는 복부를 눌러 종양이나 비정상적인 종괴가 있는지 확인하고, 황달 등의 증상을 평가합니다.

2. 혈액 검사

  • 간 기능 검사: 간 효소(AST, ALT), 빌리루빈, 알부민 등의 수치를 확인하여 간 기능을 평가합니다.
  • 종양 표지자 검사: 췌장암에서 자주 상승하는 종양 표지자인 CA 19-9와 CEA(암태아성 항원) 수치를 측정합니다. 그러나 이 표지자는 진단의 보조 수단으로 사용되며, 단독으로 진단할 수 없습니다.

3. 영상 검사 영상 검사는 췌장암의 위치, 크기, 전이 여부 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 복부 초음파 검사 (Ultrasound): 간단하고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췌장의 이상 여부를 초기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장점: 신속하고 비침습적입니다.
    • 단점: 작은 종양이나 깊숙한 부위의 종양은 발견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복부 CT 스캔 (Computed Tomography): 췌장과 주변 장기의 단면 이미지를 제공하여 종양의 크기와 위치, 전이 여부를 평가합니다.
    • 장점: 종양의 크기와 위치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 단점: 방사선 노출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복부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CT보다 더 상세한 연조직 이미지를 제공하며, 췌관과 담관의 구조를 잘 보여줍니다.
    • 장점: 연조직 구분이 명확합니다.
    • 단점: 검사 시간이 오래 걸리고, 고비용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내시경 초음파 (Endoscopic Ultrasound, EUS): 내시경을 통해 초음파 프로브를 삽입하여 췌장을 자세히 검사할 수 있습니다. 이 검사로 조직 검사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
    • 장점: 고해상도 이미지를 제공하며, 조직 검사를 동시에 시행할 수 있습니다.
    • 단점: 침습적 검사로, 약간의 불편감이 있을 수 있습니다.

4. 내시경 역행 췌담관 조영술 (ERCP)

  • 설명: 내시경을 통해 췌관과 담관에 조영제를 주입한 후 X-선 촬영을 통해 췌장과 담관의 구조를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 목적: 췌관이나 담관이 막혀 있거나 좁아진 부위를 확인하고, 필요 시 스텐트를 삽입하여 담즙 배출을 돕습니다.
  • 부작용: 췌장염, 감염, 출혈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조직 검사 (Biopsy) 조직 검사는 췌장암의 최종 진단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내시경 초음파나 CT 유도하에 바늘을 삽입하여 종양 조직 샘플을 채취합니다.

  • 목적: 현미경으로 종양 세포를 분석하여 췌장암의 확진을 내립니다.
  • 방법: 내시경 초음파 유도 조직 검사(EUS-FNA) 또는 CT 유도하 생검
  • 부작용: 출혈, 감염, 췌장염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췌장암의 병기 결정 (Staging)

췌장암의 병기를 결정하여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중요합니다. 병기는 종양의 크기, 림프절 전이 여부, 원격 전이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 T (Tumor): 종양의 크기와 침범 범위를 평가합니다.
  • N (Node): 림프절 전이 여부를 평가합니다.
  • M (Metastasis): 원격 전이 여부를 평가합니다.

추가 검사

췌장암이 다른 장기로 전이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추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흉부 CT (Chest CT): 폐로의 전이 여부를 평가합니다.
  • 뼈 스캔 (Bone Scan): 뼈로의 전이 여부를 평가합니다.
  • PET 스캔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종양의 대사 활동을 평가하여 암의 전이 여부를 확인합니다.

췌장암의 진단은 다양한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병력 청취, 신체검사, 혈액 검사, 영상 검사, 조직 검사 등이 주요 진단 방법이며, 필요에 따라 추가 검사가 시행될 수 있습니다. 조기 발견과 정확한 진단이 췌장암 치료에 중요한 만큼, 증상이 있거나 의심될 경우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남성암 > 췌장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췌장암 1기 치료  (0) 2024.07.13
췌장암의 종류  (0) 2024.07.13
췌장암의 증상  (0) 2024.07.13
췌장암의 진단  (0) 2024.07.13
췌장암의 증상  (0) 2024.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