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만성림프구성백혈병(CLL) 치료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 치료

CLL의 치료는 주로 병기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접근합니다. 초기에는 경과 관찰을 하며, 증상이 나타나거나 병이 진행될 경우 치료를 시작합니다.

초기 경과 관찰 (Watch and Wait)

초기 CLL은 증상이 없고, 혈액 검사 결과가 심각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며,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병의 진행을 모니터링합니다.

치료 시작 기준

치료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시작합니다:

  • 증상 발생: 피로, 발열, 야간 발한, 체중 감소 등.
  • 혈구 수치 감소: 빈혈이나 혈소판 감소.
  • 림프절 비대: 림프절이 빠르게 커지거나 불편함을 초래할 때.
  • 간 및 비장 비대: 간이나 비장이 커져서 복부 불편을 초래할 때.

주요 치료 약물

  1. Ibrutinib (이브루티닙)
    • 작용기전: BTK(BTK: Bruton’s tyrosine kinase) 억제제로, B세포 신호 전달을 차단하여 백혈병 세포의 성장을 억제합니다.
    • 용법: 하루 420mg 경구 복용.
    • 부작용: 피로, 설사, 근육통, 출혈 위험 증가.
  2. Acalabrutinib (아칼라브루티닙)
    • 작용기전: BTK 억제제로, 이브루티닙과 유사한 작용을 합니다.
    • 용법: 하루 100mg을 두 번 경구 복용.
    • 부작용: 두통, 피로, 출혈 위험 증가.
  3. Venetoclax (베네토클락스)
    • 작용기전: BCL-2 억제제로, 백혈병 세포의 자멸사를 유도합니다.
    • 용법: 초기 용량 조정 후 하루 400mg 경구 복용.
    • 부작용: 구역, 설사, 감염 위험 증가, 종양 붕괴 증후군(Tumor Lysis Syndrome).
  4. Obinutuzumab (오비누투주맙)
    • 작용기전: CD20 항체로, B세포에 결합하여 면역 반응을 통해 백혈병 세포를 파괴합니다.
    • 용법: 정맥 주사로 주기적으로 투여.
    • 부작용: 발열, 감염, 주사 부위 반응.
  5. Rituximab (리툭시맙)
    • 작용기전: CD20 항체로, 오비누투주맙과 유사하게 B세포를 표적으로 합니다.
    • 용법: 정맥 주사로 주기적으로 투여.
    • 부작용: 발열, 감염, 주사 부위 반응.
  6. Bendamustine (벤다무스틴)
    • 작용기전: 알킬화제로, DNA를 손상시켜 세포 사멸을 유도합니다.
    • 용법: 정맥 주사로 주기적으로 투여.
    • 부작용: 골수 억제, 구역, 구토.

 

 

치료 전략

일차 치료 (First-line Therapy)

  • Ibrutinib 단독 요법: 대부분의 환자에게 권장됩니다.
  • Ibrutinib + Rituximab: 고위험 환자에게 권장됩니다.
  • Venetoclax + Obinutuzumab: 조기 진행을 보이는 환자에게 권장됩니다.

재발/불응성 CLL (Relapsed/Refractory CLL)

  • Venetoclax + Rituximab: 이브루티닙이나 아칼라브루티닙에 불응하는 경우.
  • Acalabrutinib: 이브루티닙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 다른 임상 시험 참여: 새로운 치료법을 시험할 수 있는 기회.

추가 고려 사항

  • 임상 시험: NCCN은 환자분이 가능하다면 임상 시험에 참여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새로운 치료법을 시험하고, 기존 치료법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지원 치료: 골수 억제로 인한 감염, 출혈, 빈혈 등을 관리하기 위한 지원 치료가 필요합니다. 이는 항생제, 성장인자(G-CSF), 수혈 등의 형태로 제공됩니다.
  • 추적 관찰: 치료 후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합니다. 이는 재발 여부를 조기에 발견하고,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치료를 시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은 주로 타이로신 키나제 억제제(TKI)와 항체 치료를 통해 관리합니다.

각 환자분의 상태와 특성에 맞춘 최적의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료 중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관리하고, 지속적인 추적 관찰을 통해 재발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