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요로상피암 및 표적치료제 '발베사'

 

요로상피암 및 표적치료제 '발베사' 정보

요로상피암 개요

요로상피암은 주로 방광, 요관, 신우 및 요도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고령층에서 주로 나타납니다. 특히 60대 이상의 남성에서 높은 빈도로 발생하며, 재발과 전이가 잦아 치료가 어려운 암종입니다.

요로상피암의 주요 증상

  • 혈뇨: 요로상피암의 가장 흔한 증상으로, 소변에서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입니다.
  • 배뇨 곤란 및 잦은 배뇨: 방광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배뇨 시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복통 및 요통: 암이 진행되면서 복부 또는 요추 부위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체중 감소 및 피로: 암이 진행되면서 일반적인 전신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요로상피암의 원인

요로상피암의 주요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있습니다:

  • 흡연: 흡연은 요로상피암의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 암 발생률을 크게 높입니다.
  • 화학물질 노출: 특정 산업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예: 아로마틱 아민, 페인트, 염료)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위험이 증가합니다.
  • 만성 방광염: 만성적인 방광염이나 감염이 요로상피암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 방사선 노출: 이전에 다른 암 치료를 위해 방사선 요법을 받은 경우 요로상피암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요로상피암의 치료법

요로상피암의 치료는 암의 진행 정도에 따라 다릅니다. 주요 치료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술: 초기 단계에서는 암을 제거하기 위한 수술이 가장 흔히 사용됩니다.
  • 항암화학요법: 암이 전이되거나 수술이 어려운 경우, 화학요법이 사용됩니다.
  • 면역 요법: 면역체계를 활성화하여 암세포를 공격하는 면역항암제가 사용됩니다.
  • 표적치료제: FGFR 변이를 가진 환자에게는 표적치료제 '발베사'와 같은 약물이 사용됩니다.

표적치료제 '발베사'의 최신 정보

한국얀센은 요로상피암 표적치료제 '발베사정(얼다피티닙)'의 최신 임상 데이터를 발표했습니다. 발베사는 FGFR 변이를 가진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암 환자를 위한 최초의 FGFR 표적치료제로, 2022년 11월에 국내 허가를 받았습니다.

서울성모병원 종양내과 김인호 교수는 "발베사는 기존 항암화학요법과 면역항암제를 사용한 환자에서 생존율을 개선하고 추가 치료의 기회를 제공한다"고 평가했습니다.

FGFR 변이는 요로상피암 환자의 약 20%에서 발견되며, 이에 따라 발베사는 FGFR에 결합하여 효소 활성을 억제하고 세포 생존을 감소시키는 기전으로 작용합니다.

암 전문 카페 "아프다" 소개

암이라고 의심되어 걱정이 되시거나, 암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 정보를 얻고 지원을 받고자 하신다면, 암 전문 카페 "아프다"를 방문해 보세요.

"아프지만, 다행이다." 카페는 연령별 빈도수 높은 암에 대한 정보와 연령별 꼭 해야 할 건강검진 항목을 소개합니다. 또한 항암치료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암 치료 상황별 질문지를 통해 환자들에게 도움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