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내 제약바이오업계의 혈액암 치료제 개발 성과

국내의 한미약품, 파로스아이바이오, 리가켐바이오, 압타머사이언스 등이 미국혈액학회 ASH 2024에서 혈액암 치료제 관련 연구 성과를 발표합니다. 이 학회는 세계 최대 규모의 혈액암 관련 학술대회입니다.


---

한미약품 투스페티닙

한미약품은 급성골수성백혈병 AML 치료제인 투스페티닙의 삼제 병용요법 임상 결과를 공개합니다.
투스페티닙은 골수성 악성 종양에서 주요 키나아제를 표적하는 경구용 치료제로, FDA로부터 패스트트랙 의약품으로 지정된 혁신 신약입니다.

주요 성과
재발성 AML 환자에서 안전성 및 약물 반응 확인
다양한 유전자 돌연변이 환자에서도 효과 입증
기존 약물의 전형적인 독성 반응은 관찰되지 않음

병용 요법 연구
BCL2 억제제 베네토클락스 및 저메틸화제 아자시티딘과 병용 가능성을 평가 중입니다.
내년 유럽혈액학회에서 삼제 병용요법 최적 용량을 발표할 계획입니다.


---

파로스아이바이오 PHI-101

파로스아이바이오는 PHI-101이라는 표적항암제의 임상 결과를 발표합니다.
PHI-101은 AML 환자의 약 35%에서 발현되는 FLT3 유전자 변이를 표적으로 삼는 약물입니다.

단독 요법 성과
FLT3 돌연변이를 가진 환자에서도 암세포 성장 억제 확인

병용 요법 연구
베네토클락스 및 아자시티딘과의 삼중 병용요법에서 95% 종양 성장 억제율 달성
대조군보다 생존 기간 연장 30일에서 53일로 증가


---

항체약물접합체 ADC 플랫폼 경쟁력

리가켐바이오와 압타머사이언스는 ADC 기반 플랫폼 성과를 공개합니다.

리가켐바이오
ROR1 타깃 ADC 후보물질 CS5001의 안전성과 항종양 활성 결과 발표
최대 허용 용량에도 도달하지 않아 우수한 안전성 보고

압타머사이언스
ApDC 플랫폼 기반 AST-202 신약의 연구 성과 공개
기존 ADC 애드세트리스보다 우수한 종양 억제 효과와 생존율 확인


---

주요 용어 정리

급성골수성백혈병 (Acute Myeloid Leukemia, AML)
골수에서 발생하는 악성 혈액암

BCL2 억제제 (B-cell lymphoma 2 inhibitor, Venetoclax)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항암제

FLT3 유전자 변이 (Fms-like tyrosine kinase 3 mutation)
AML 환자의 주요 돌연변이로 암세포 성장에 관여

항체약물접합체 (Antibody-Drug Conjugate, ADC)
암세포 표적 치료용 항체와 세포사멸 약물의 결합체

압타머-약물 접합체 (Aptamer-Drug Conjugate, ApDC)
항체 대신 압타머를 이용한 차세대 ADC 기술

혈액암 치료에 대한 연구와 신약 개발은 국내 바이오 산업의 경쟁력을 국제적으로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혈액암 #AML #ADC #압타머 #신약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