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유방암의 다양한 서브타입과 그 특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유방암은 여러 가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서브타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침윤성 유관암 (Invasive Ductal Carcinoma)
발생비율: 약 70~80%
특징: 유관에서 시작하여 주변 조직이나 림프절로 침윤할 수 있습니다.
증상: 종종 유방 부분의 덩어리, 통증, 유방의 형태 변화
진단방법: 유방촬영, 초음파, 조직 검사
2. 비침윤성 유관암 (Ductal Carcinoma In Situ, DCIS)
발생비율: 약 20% (수정)
특징: 유관 내에서 제한되어 있으며, 주변 조직이나 림프절로 침윤하지 않습니다.
증상: 종종 증상이 없으나 종종 유방의 간헐적인 통증이나 감각 이상이 있을 수 있음
진단방법: 유방조직 검사, 유방 조영촬영
3. 침윤성 유로암 (Invasive Lobular Carcinoma)
발생비율: 약 10~15%
특징: 유선엽에서 시작하여 주변 조직이나 림프절로 침윤할 수 있으며, 종종 양측 유방에 동시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 종종 증상이 없으나 유방의 형태 변화, 통증
진단방법: 유방조직 검사, 유방촬영
4. 비침윤성 유로암 (Lobular Carcinoma In Situ, LCIS)
발생비율: 약 5%
특징: 유선엽 내에서 제한되어 있으며, 주변 조직이나 림프절로 침윤하지 않지만, 유방암의 위험인자로 간주됩니다. 양측 유방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 종종 증상이 없으나 유방의 형태 변화
진단방법: 유방조직 검사
5. 유두암 (Paget’s Disease of the Breast)
발생비율: 약 1~4%
특징: 유두와 유륜의 피부에 발생하며, 피부의 붉은 반점, 각질, 가려움, 통증, 유즙 분비 등이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 피부의 붉은 반점, 각질, 가려움, 통증, 유즙 분비
진단방법: 유방촬영, 피부 생검
6. 유두내 유관암 (Intraductal Papillary Carcinoma)
발생비율: 약 0.5~1.5%
특징: 유관 내에 유두 모양의 성장이 발생하며, 비침윤성이거나 침윤성일 수 있습니다.
증상: 종종 유방 부분의 덩어리, 통증
진단방법: 유방조직 검사, 유방촬영
7. 유관내 유로암 (Intraductal Lobular Carcinoma)
발생비율: 약 0.5%
특징: 유관 내에 유선엽 모양의 성장이 발생하며, 비침윤성이거나 침윤성일 수 있습니다.
증상: 종종 유방 부분의 덩어리, 통증
진단방법: 유방조직 검사, 유방촬영
8. 유관내 유두내 유로암 (Intraductal Papillary Lobular Carcinoma)
발생비율: 매우 드문 유형
특징: 유관 내에 유두와 유선엽 모양의 성장이 동시에 발생하며, 비침윤성이거나 침윤성일 수 있습니다.
증상: 종종 유방 부분의 덩어리, 통증
진단방법: 유방조직 검사, 유방촬영
9. 산란관암 (Tubular Carcinoma)
발생비율: 약 2%
특징: 작은 관 모양의 성장이 발생하며, 조기에 발견되면 치료가 가능하며, 예후는 일반적으로 좋습니다.
증상: 종종 유방 부분의 덩어리, 통증
진단방법: 유방조직 검사, 유방촬영
10. 무표현암 (Medullary Carcinoma)
- 발생비율: 약 3~5%
- 특징: 부드럽고 단단한 결절 모양의 성장이 발생하며, 호르몬 수용체나 HER2가 표현되지 않습니다. 예후는 다른 침윤성 유방암보다 좋습니다.
- 증상: 종종 유방 부분의 덩어리, 통증
- 진단방법: 유방조직 검사,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11. 무형성암 (Mucinous Carcinoma)
- 발생비율: 약 1~2%
- 특징: 점액질을 함유한 성장이 발생하며, 호르몬 수용체가 양성이고, HER2가 음성입니다. 예후는 다른 침윤성 유방암보다 좋습니다.
- 증상: 종종 유방 부분의 덩어리, 통증
- 진단방법: 유방조직 검사,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12. 고형암 (Solid Carcinoma)
- 발생비율: 약 1%
- 특징: 고형의 성장이 발생하며, 호르몬 수용체나 HER2가 표현되지 않습니다. 예후는 다른 침윤성 유방암보다 나쁩니다.
- 증상: 종종 유방 부분의 덩어리, 통증
- 진단방법: 유방조직 검사,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13. 삼중음성 유방암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
- 발생비율: 전체 유방암의 약 10~15%
- 특징
- 침윤성 유관암(IDC)의 형태로 가장 흔하게 나타남
- 젊은 연령대, 특히 50세 이하 여성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
- BRCA1 유전자 돌연변이와 밀접한 연관 (특히 유전성 유방암에서 흔함)
- 호르몬이나 HER2 표적치료제가 효과 없음
- 조기 재발률과 전이 경향이 높음 (특히 폐, 간, 뇌)
- 증상
- 통증 없는 덩어리(lump), 피부 함몰, 유두 분비, 피부 변화
- 진행된 경우 림프절이나 다른 장기로의 침윤 가능
- 진단방법
- 유방촬영술(Mammography), 유방초음파
- 조직 생검 후 면역조직화학검사(IHC) 및 FISH로 삼중음성 여부 확인
보다 자세한 내용은 네이버 카페 "아프다Apuda" 에서 확인하세요.
아프다 ApuDa : 네이버 카페
아프다apuda는 암에 대한 정보를 한곳에 모은 곳 입니다. 질문지 활용해 잘 알고 치료 시작해요.
cafe.naver.com
'여성암 > 유방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방암에서의 Tubular, Gland Formation 등 3가지 등급 평가 기준 (0) | 2023.11.14 |
---|---|
[유방암] 유방암의 등급 및 평가 기준 (0) | 2023.11.13 |
[유방암] 유방암병기별 치료 (0) | 2023.11.10 |
[유방암]유방암 병기의 결정 TNM에 따른 분류 (0) | 2023.11.10 |
[유방암] 유방암은 조기 발견하면 생존율이 40%==>>99%로 높아집니다. (0) | 2023.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