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성암/위암

위암 기초 정보

위암 진단 방법

  1. 영상 검사
    • 상부위장관 내시경: 위 내부를 직접 시각적으로 검사하며, 필요시 조직 검사를 시행합니다.
    • CT(전산화 단층촬영): 위암의 병기 결정 및 전이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PET-CT(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암의 대사활동을 확인하여 전이 여부를 평가합니다.
  2. 조직 검사
    • 내시경 생검: 내시경을 통해 종양 조직을 채취하여 암세포 유무를 확인합니다.
    • 수술 전 생검: 수술이 필요한 경우, 정확한 병리학적 평가를 위해 조직 검사를 시행합니다.

위암 병기별 설명과 치료 가이드라인

1기 (Stage I)

  • 설명: 암이 위에 국한되어 있고, 림프절로 퍼지지 않은 초기 단계입니다.
  • 치료:
    • 수술: 내시경 점막 절제술(EMR) 또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을 시행하거나, 부분 위절제술을 시행합니다.
    • 보조 화학요법: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 있습니다.

2기 (Stage II)

  • 설명: 암이 위벽을 깊이 침범하고, 가까운 림프절로 퍼진 상태입니다.
  • 치료:
    • 수술: 근치적 위절제술과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합니다.
    • 보조 화학요법: 수술 후에 보조 화학요법을 시행합니다.

3기 (Stage III)

  • 설명: 암이 위를 넘어 여러 림프절로 퍼진 상태로, 지역적으로 진행된 단계입니다.
  • 치료:
    • 수술: 근치적 위절제술과 광범위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합니다.
    • 신보조 화학요법: 수술 전에 종양 크기를 줄이기 위해 화학요법을 시행합니다.
    • 보조 화학요법: 수술 후 보조 화학요법을 시행합니다.

4기 (Stage IV)

  • 설명: 암이 간, 폐, 뼈 등 원격 부위로 전이된 상태입니다.
  • 치료:
    • 전신 치료: 항암화학요법 (예: 시스플라틴, 5-FU, 카페시타빈)을 사용합니다.
    • 표적 치료: HER2 양성 환자의 경우, 트라스투주맙을 사용합니다.
    • 면역요법: PD-1 억제제 (예: 펨브롤리주맙)를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