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혈액암/백혈병

[백혈병] 백혈병 혈액암

백혈병의 증상

백혈병은 혈액과 골수에 영향을 미치는 암으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피로 및 쇠약감
  • 창백한 피부
  • 쉽게 멍이 들거나 출혈이 발생
  • 잦은 감염
  • 발열
  • 체중 감소
  • 뼈나 관절 통증
  • 림프절, 간, 또는 비장 종대
  • 호흡 곤란
  • 빈혈

백혈병의 검사 방법

백혈병을 진단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검사가 사용됩니다.

  1. 혈액 검사
    • 완전 혈구 검사 (CBC)로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수치를 평가하고, 말초 혈액 도말 검사로 비정상적인 세포를 확인합니다.
  2. 골수 검사
    • 골수 흡인 및 생검을 통해 골수 내의 세포를 채취하고, 병리학적으로 검사하여 백혈병 세포를 확인합니다.
  3. 유전자 검사
    • 특정 유전자 변이나 염색체 이상을 확인하여 백혈병의 유형을 파악합니다.
  4. 면역표지자 검사 (Flow Cytometry)
    • 세포 표면의 특정 단백질을 검사하여 백혈병 세포를 분류합니다.
  5. 영상 검사
    • CT, MRI, 초음파 등을 통해 림프절, 간, 비장 등의 종대 여부를 평가합니다.

백혈병의 종류

백혈병은 급성과 만성, 림프구성과 골수성으로 크게 네 가지 주요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1.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 급성 백혈병으로 림프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합니다. 주로 소아에게 발생합니다.
  2. 급성 골수성 백혈병 (Acute Myeloid Leukemia, AML)
    • 급성 백혈병으로 골수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합니다. 주로 성인에게 발생합니다.
  3.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CLL)
    • 만성 백혈병으로 성숙한 림프구가 천천히 증식합니다. 주로 노년층에서 발생합니다.
  4. 만성 골수성 백혈병 (Chronic Myeloid Leukemia, CML)
    • 만성 백혈병으로 성숙한 골수 세포가 천천히 증식합니다. 필라델피아 염색체라는 특정 유전자 변이가 관련되어 있습니다.

백혈병의 치료법

백혈병의 치료는 백혈병의 유형, 단계, 환자의 전신 상태 등에 따라 다릅니다. 

  1. 화학요법
    • 백혈병 치료의 기본적인 방법으로, 여러 항암제를 조합하여 사용합니다.
    • 급성 백혈병에서는 집중적인 화학요법이 필요합니다.
  2. 표적 치료
    • 특정 유전자 변이나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여 암세포를 공격하는 치료법입니다.
    • 주요 약물: 이마티닙 (Imatinib), 닐로티닙 (Nilotinib), 다사티닙 (Dasatinib)
  3. 면역 요법
    • 면역계를 활성화하여 암세포를 공격하게 하는 치료법입니다.
    • 주요 약물: 리툭시맙 (Rituximab), 블리나투모맙 (Blinatumomab)
  4. 조혈모세포 이식 (Stem Cell Transplant)
    • 고용량 화학요법 후 자가 또는 타인의 조혈모세포를 이식하여 새로운 혈액 세포를 만듭니다.
    • 자가이식(Autologous transplant)과 동종이식(Allogeneic transplant)이 있습니다.
  5. 방사선 치료
    • 특정 부위나 전신에 방사선을 사용하여 암세포를 파괴합니다. 주로 림프절이나 비장의 종대가 있는 경우 사용됩니다.
  6. 스테로이드 치료
    • 염증을 줄이고 면역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환자분들이 궁금해하는 사항

  1. 치료 후 생존율
    • 백혈병의 생존율은 유형, 단계, 치료 방법에 따라 크게 다릅니다.
    • 급성 백혈병의 경우 조기 발견과 집중 치료가 중요하며, 만성 백혈병의 경우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2. 치료의 부작용
    • 화학요법: 메스꺼움, 구토, 탈모, 피로, 감염 위험 증가
    • 표적 치료: 발열, 오한, 피로, 피부 발진, 혈압 변화
    • 면역 요법: 발열, 감염 위험 증가, 면역 관련 부작용
    • 조혈모세포 이식: 감염, 출혈, 장기 손상
  3. 식이 요법
    • 건강한 식단과 적절한 영양 섭취가 중요합니다. 과일, 채소, 통곡물 등을 많이 섭취하고, 가공 식품과 설탕이 많은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추적 관찰
    • 정기적인 검진과 혈액 검사를 통해 재발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 치료를 받습니다.

 

https://cafe.naver.com/2ndpart

'혈액암 > 백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혈병 (Leukemia)  (0) 2025.06.08
백혈병 재발 - 이해와 관리  (0) 2025.02.22
백혈병의 종류와 증상 - 김용찬 선생님  (2) 2025.01.05
백혈병의 정의와 치료  (2) 2024.11.22
백혈병의 대표 증상과 관리  (1) 2024.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