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 치료와 부작용 관리
항암치료를 받으시면 여러 가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이러한 부작용은 대부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주요 부작용과 관리법
1. 골수 억제 (Bone Marrow Suppression)
증상: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이 줄어들어 감염 위험이 높아지거나 빈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출혈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감염 예방: 손을 자주 씻고, 사람이 많은 곳을 피하세요. 생고기나 생선 등 생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빈혈 관리: 빈혈이 심한 경우 수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철분 보충제를 복용하거나 철분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출혈 예방: 칼이나 날카로운 물체를 사용할 때 조심하세요. 만약 출혈이 발생하면 즉시 의료진에게 연락하세요.
2. 소화기 증상 (Gastrointestinal Symptoms)
증상: 구역질, 구토, 설사, 변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구역질과 구토: 항구토제를 처방해드릴 수 있습니다. 식사는 소량씩 자주 드시고,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세요.
- 설사: 수분을 많이 섭취하고, 지사제를 복용하세요. 기름진 음식이나 섬유질이 많은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변비: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고, 물을 많이 드세요.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3. 탈모 (Alopecia)
증상: 머리카락을 포함한 신체의 털이 빠질 수 있습니다.
- 두피 관리: 순한 샴푸를 사용하고, 두피를 보호하기 위해 모자를 쓰는 것도 좋습니다.
- 심리적 지원: 필요하면 가발을 쓰거나 모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심리적 부담이 크다면 상담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
4. 피로 (Fatigue)
증상: 극심한 피로감과 무기력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 활동 관리: 무리하지 말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세요. 활동량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영양 관리: 균형 잡힌 식사를 하고, 필요하면 비타민 보충제를 섭취하세요.
- 심리적 지원: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이완 요법이나 상담을 받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5. 신경독성 (Neurotoxicity)
증상: 손발 저림, 근육 약화, 감각 이상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증상 관리: 증상이 심해지면 의료진과 상의하여 항암제의 용량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 물리 치료: 손발 운동이나 물리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6. 체중 감소 및 증가 (Weight Loss and Gain)
증상: 항암치료 중 식욕 감소, 구역질, 구토, 설사 등으로 체중이 감소하거나 스테로이드 사용, 신체 활동 감소 등으로 체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체중 감소
- 영양 섭취: 영양가 높은 음식을 소량씩 자주 섭취하세요. 필요시 영양보충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식욕 증진: 의사와 상의하여 식욕 증진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체중 증가
- 식이 조절: 고칼로리 음식 섭취를 줄이고, 균형 잡힌 식사를 유지하세요.
- 운동: 적절한 운동을 통해 체중을 관리하세요.
항암제와 그 부작용
폐암 치료에 많이 사용되는 항암제는 크게 전통적인 항암제, 면역항암제, 표적항암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항암제
시스플라틴 (Cisplatin)
부작용: 구역질, 구토, 신경독성, 신장 독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충분한 수분 섭취를 통해 신장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 항구토제를 사용하여 구역질과 구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파클리탁셀 (Paclitaxel)
부작용: 골수 억제, 신경독성, 탈모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정기적으로 혈구 수치를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성장인자를 주사할 수 있습니다.
- 신경 증상이 나타나면 용량을 조정하거나 증상 완화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젬시타빈 (Gemcitabine)
부작용: 골수 억제, 간 독성, 발진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정기적으로 간 기능 검사를 실시합니다.
- 발진이 발생하면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면역항암제 (Immunotherapy)
면역항암제는 몸의 면역체계를 강화하여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약물입니다. 대표적인 약물로는 키트루다(펨브롤리주맙), 옵디보(니볼루맙) 등이 있습니다.
- 피부 반응: 발진, 가려움증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관리법: 보습제를 사용하고,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할 수 있습니다.
- 소화기 증상: 설사, 복통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관리법: 지사제 복용, 수분 섭취 증가.
- 호르몬 변화: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나 부신 기능 저하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관리법: 정기적인 혈액 검사로 호르몬 수치를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호르몬 대체 요법을 시행합니다.
표적항암제 (Targeted Therapy)
표적항암제는 특정 유전자 변이나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아 암세포를 공격하는 약물입니다. 대표적인 약물로는 타세바(에rlotinib), 타그리소(osimertinib) 등이 있습니다.
- 피부 반응: 여드름양 발진, 건조증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관리법: 피부 보습제 사용, 피부과 전문의 상담.
- 간 독성: 간 수치 상승, 간염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관리법: 정기적인 간 기능 검사, 필요 시 약물 중단 또는 용량 조정.
- 위장관 증상: 설사, 구역질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관리법: 지사제 복용, 식이 조절.
항암치료 중 발생하는 부작용과 그 관리에 대해서는 항상 의료진과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작용의 발생을 줄이고,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의료진과의 상담이 중요합니다.
'남성암 > 폐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그리소의 효과와 부작용 관리 (0) | 2024.08.29 |
---|---|
폐암의 예방 (0) | 2024.08.10 |
폐암 Lung Cancer (1) | 2024.07.18 |
폐암 4기 (0) | 2024.07.10 |
폐암 3기의 치료 (0) | 2024.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