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암/유방암
유방암의 기초정보
ApuDa
2024. 6. 28. 22:28
유방암 진단 방법
- 영상 검사
- 유방촬영술(맘모그래피): 유방암의 초기 진단에 사용됩니다.
- 초음파 검사: 유방의 종양을 더 명확히 보기 위해 사용됩니다.
- MRI(자기공명영상): 유방암의 확진과 범위를 평가하는데 사용됩니다.
- CT 및 PET-CT: 전이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조직 검사
- 세침흡인검사(FNA): 바늘을 사용해 종양 세포를 채취합니다.
- 코어바이옵시(Core Biopsy): 더 큰 바늘을 사용해 종양 조직을 채취합니다.
- 절개 생검 및 절제 생검: 종양의 일부분 또는 전체를 제거하여 검사합니다.
유방암 병기별 설명과 치료 가이드라인
1기 (Stage I)
- 설명: 종양이 2cm 이하이고 림프절에 전이되지 않은 초기 단계입니다.
- 치료:
- 수술: 유방 보존 수술(부분 절제술) 또는 전 절제술을 시행합니다.
- 방사선 치료: 유방 보존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합니다.
- 보조 항암화학요법: 필요에 따라 사용되며,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ER+)일 경우 항호르몬 치료(타목시펜, 아로마타제 억제제 등)를 포함합니다.
2기 (Stage II)
- 설명: 종양이 2
5cm이거나, 13개의 림프절에 전이된 상태입니다.
- 치료:
- 수술: 유방 보존 수술 또는 전 절제술 후 보조 방사선 치료를 시행합니다.
- 항암화학요법: 보조 치료로 사용됩니다.
- 호르몬 치료: ER+일 경우 사용됩니다.
3기 (Stage III)
- 설명: 종양이 5cm 이상이거나, 4개 이상의 림프절에 전이된 상태입니다.
- 치료:
- 신보조 항암화학요법: 수술 전에 종양 크기를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 수술: 유방 보존 수술 또는 전 절제술을 시행합니다.
- 방사선 치료: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합니다.
- 호르몬 치료 및 HER2 표적 치료: ER+, HER2+일 경우 사용됩니다.
4기 (Stage IV)
- 설명: 암이 원격 부위(뼈, 간, 폐 등)로 전이된 상태입니다.
- 치료:
- 전신 치료: 항암화학요법, 호르몬 치료, HER2 표적 치료 (트라스투주맙, 퍼투주맙 등), 면역요법 (펨브롤리주맙) 등을 사용합니다.
- 지지 치료: 증상 완화를 위한 방사선 치료 또는 수술을 병행할 수 있습니다.
'여성암/유방암' Related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