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목시펜의 작용 원리
타목시펜(Tamoxifen)은 유방암 치료에 중요한 약물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Estrogen)의 작용을 억제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막습니다. 이 약물은 폐경 전과 폐경 후 모두 사용 가능하지만, 폐경 후 여성에게는 아로마타제 억제제(Aromatase Inhibitor)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용어 설명: 에스트로겐(Estrogen): 여성의 성호르몬으로, 유방암 세포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아로마타제 억제제(Aromatase Inhibitor): 에스트로겐 생성을 억제하여 폐경 후 여성의 유방암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임신과 타목시펜
타목시펜은 가임기 여성에서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약물 복용 중 임신할 경우 태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임신 계획이 있다면 최소 2개월 이상 약물을 중단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주의사항: 가임기(Fertile Age): 임신 가능한 시기를 의미하며, 임신 계획이 있는 경우 담당 의사와 상의 후 약물 복용 중단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타목시펜의 주요 부작용
- 자궁내막 증식증(Endometrial Hyperplasia) 및 자궁내막암(Endometrial Cancer): 타목시펜은 자궁내막을 두껍게 만들어 자궁내막암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타목시펜을 복용하는 여성은 1년에 한 번 자궁 초음파 검사를 받아야 하며, 통증이나 부정출혈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산부인과 진료가 필요합니다.
용어 설명: 자궁내막(Endometrium): 자궁의 안쪽 벽을 덮고 있는 조직으로, 자궁내막암은 이 부위에 발생하는 암입니다.
- 혈전증 위험(Thrombosis): 타목시펜 복용 시 혈액이 끈적해지면서 혈전(Thrombus)이 생길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혈전이 다리의 심부정맥을 막는 경우 심부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이 발생하며, 다리가 붓고 통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즉시 병원에 방문해야 합니다. 드물게 심장이나 뇌로 혈전이 이동해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이나 뇌졸중(Stroke)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용어 설명: 혈전(Thrombus): 혈관 속에서 굳어진 피 덩어리. 심부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주로 다리의 깊은 정맥에 혈전이 생겨 혈관을 막는 질환입니다.
- 폐경 증상(Menopausal Symptoms): 타목시펜은 폐경과 유사한 부작용(안면홍조 등)을 유발할 수 있으나, 이러한 증상은 시간이 지나면서 완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용어 설명: 안면홍조(Hot Flash): 얼굴이 갑자기 달아오르며 붉어지고 열감이 느껴지는 증상으로, 폐경 증상 중 하나입니다.
주의사항 및 관리
타목시펜 복용 중 자궁내막암과 혈전증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정기적인 검진이 필수입니다. 또한 부작용이 나타날 경우 즉시 주치의와 상담해야 합니다.
#타목시펜 #유방암치료 #호르몬치료 #부작용 #자궁내막암 #혈전증 #폐경증상 #임신계획 #아프다 #아프다카페 #암전문아프다 #아프지만다행이다 #apuda
'여성암 > 유방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방암 치료 후 식단 관리 방법 - 정소연 선생님 (2) | 2024.12.20 |
---|---|
아로마타제 억제제 치료효과와 부작용 - 이학민선생님 (2) | 2024.12.19 |
유방암 진단 후 환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것들 (0) | 2024.12.15 |
유방암의 약물 치료 - 분당서울대 김지현선생님 (2) | 2024.12.03 |
유방암 환자로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정보 - 삼성서울병원 박연희선생님 (0) | 2024.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