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성암/위암

위암 수술의 모든 것 - 국립암센터 엄방울 교수

 

 

 

1. 위의 기능과 구조

위는 음식물을 보관하고 위산을 통해 부드럽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음식물 역류를 막는 분문과 소장으로 한꺼번에 내려가지 않도록 조절하는 유문이 있습니다. 한국인의 위암 발생 위치는 아래쪽 50%, 중간 30%, 윗부분이 20%로 나타납니다.

2. 위암 수술의 절제 범위

수술은 위암의 위치진행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래쪽에 암이 있는 경우 하부 절제술, 위쪽에 있으면 상부 절제술을 시행합니다. 전체 절제를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으며, 조기 위암의 경우 유문 보전 절제술이 가능합니다.

암세포와 전이 가능성이 있는 임파선을 함께 절제하여 재발을 줄이고, 일부 경우에는 감시 림프절 수술로 위를 더 많이 보존할 수 있습니다.

3. 절제술과 복구 방식

전체 절제의 경우 식도를 소장과 연결하며, 부분 절제 시 남은 위와 소장을 연결합니다. 복구 방식에는 빌로스 1, 빌로스 2, 그리고 루와이 방법이 있습니다.

4. 최소 침습 수술: 복강경과 로봇 수술

복강경 수술은 작은 구멍을 통해 도구를 삽입하여 진행하고, 로봇 수술은 로봇팔을 이용해 수술을 원격으로 진행합니다. 로봇팔의 유연성 덕에 깊은 부위 수술에 유리하지만, 대부분의 조기 위암에서는 두 방법의 차이가 크지 않습니다.

5. 위암 전이와 수술 가능성

암이 위를 벗어나 간, 복막 등 다른 장기로 전이된 경우 수술보다는 항암치료를 우선합니다. 위는 영양소 흡수가 아닌 저장과 분해 역할을 하기 때문에, 수술 후에도 소장으로 영양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6. 덤핑 증후군과 식사 방법

덤핑 증후군은 유문이 제거되면서 음식물이 소장으로 한꺼번에 내려가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식후 두근거림, 구토, 복통 등이 동반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호전됩니다. 수술 직후에는 죽 형태의 음식을 섭취하고, 서서히 일반 음식으로 바꾸는 것이 권장됩니다.

7. 생존율과 재발율

위암의 5년 생존율은 1기: 95%, 2기: 80%, 3기: 60%로 보고됩니다. 5년 동안 재발이 없다면 완치로 볼 수 있으며, 기에 따라 재발율이 차이가 큽니다.

#위암 #위암수술 #감시림프절수술 #덤핑증후군 #위암생존율 #국립암센터 #아프다 #아프지만다행이다 #apu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