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증상, 원인, 치료법, 그리고 예방
유방암은 여성에게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암 중 하나로,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생존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유방암의 증상, 원인, 진단 방법, 병기, 치료법, 그리고 예방 방법까지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유방암이란 무엇인가?
유방암은 유방의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면서 종양을 형성하는 질환입니다. 유방암은 주로 유관(젖을 분비하는 관)이나 소엽(젖을 만드는 샘)에서 발생합니다. 유방암은 호르몬 수용체 상태 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 호르몬 수용체 양성 (HR-positive): 암세포가 에스트로겐(Estrogen)이나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수용체를 가지고 있어 호르몬의 영향을 받습니다.
- HER2 양성: 암세포에서 HER2(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2형)가 과발현됩니다.
- 삼중 음성 유방암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호르몬 수용체와 HER2가 없는 암으로, 치료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편입니다.
유방암의 주요 증상
유방암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유방에 만져지는 혹 (Lump) 또는 단단한 덩어리
- 유두에서 비정상적인 분비물 (Discharge), 특히 피가 섞인 분비물
- 유방 또는 겨드랑이의 통증 (Pain)이나 압통
- 유방 크기나 모양의 변화
- 유두의 함몰, 유방 피부의 발적 또는 주름짐 (일명 오렌지 껍질처럼 보이는 피부 변화)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전문의를 찾아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유방암의 원인
유방암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유전적 요인 (Genetic Factors): BRCA1 또는 BRCA2 유전자 변이가 있는 경우.
- 호르몬 요인: 에스트로겐에 오래 노출될 경우(예: 이른 초경, 늦은 폐경).
- 생활 습관: 고지방 식단, 비만, 음주 등이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 연령: 유방암은 나이가 들수록 발생률이 높아집니다.
유방암의 진단 방법
유방암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단됩니다:
- 유방촬영술 (Mammography): 유방암 조기 발견에 가장 중요한 검사.
- 초음파 검사 (Ultrasound): 유방의 혹이 고형인지 액체로 차 있는지 확인.
- 조직 검사 (Biopsy): 암세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조직을 채취.
- 유전자 검사 (Genetic Testing): BRCA1/BRCA2 변이 여부 확인.
유방암의 병기
유방암은 종양의 크기와 전이 여부에 따라 병기를 나눕니다:
- 1기: 종양 크기가 작고 전이가 없는 초기 단계.
- 2기: 종양이 크거나 림프절로 전이된 상태.
- 3기: 림프절에 광범위하게 전이된 상태.
- 4기: 암이 다른 장기로 전이된 상태.
유방암의 치료법
유방암 치료는 병기와 호르몬 수용체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 수술 (Surgery): 암 덩어리를 제거하며, 종양의 크기에 따라 유방보존술이나 유방절제술을 시행.
- 항암화학요법 (Chemotherapy): 전신 치료로 암세포를 죽이는 약물 사용.
- 호르몬 치료 (Hormonal Therapy): 호르몬 수용체 양성인 경우 에스트로겐을 차단하는 약물 사용(예: 타목시펜, 아로마타제 억제제).
- 표적치료제 (Targeted Therapy): HER2 양성 환자에게 트라스투주맙(허셉틴) 사용.
- 방사선 치료 (Radiation Therapy): 수술 후 암세포를 제거하거나 재발을 방지.
유방암 예방
유방암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 정기적인 유방암 검진을 받으세요(40세 이상 여성은 매년 유방촬영술 권장).
- 건강한 식습관과 규칙적인 운동을 실천하세요.
- 음주를 줄이고 체중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세요.
- 가족력이 있다면 유전자 검사를 통해 위험도를 평가받으세요.
'여성암 > 유방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방암 수술 후 흔히 발생하는 문제 (0) | 2025.03.14 |
---|---|
유방암 재발: 다시 시작되는 치료, 그리고 희망 (0) | 2025.02.07 |
항암제 독소루비신(Doxorubicin) (0) | 2025.01.02 |
유방암 항암제 엔허투(Enhertu) (2) | 2025.01.01 |
항암제 허셉틴 (트라스투주맙) - 유방암, 위암 등 (0) | 2024.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