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암/폐암 썸네일형 리스트형 [폐암] 폐암에서의 NGS 검사 항목과 그에 맞는 항암제 오늘은 폐암에 대한 필수 NGS 검사 항목을 살펴보고, 이러한 중요한 유전적 표지에 부합하는 항암제를 탐색해 보겠습니다.1. EGFR 돌연변이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EGFR) 돌연변이는 폐 선암종에서 널리 퍼져 있습니다. NGS는 EGFR 유전자의 특정 돌연변이를 식별하여 치료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2. ALK 재배열역형성 림프종 키나제(ALK) 재배열은 비소세포폐암(NSCLC)에서 흔히 발견됩니다. NGS는 이러한 재배열을 감지하여 표적 치료법의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ROS1 돌연변이ROS1 돌연변이는 NSCLC의 유전적 변형의 또 다른 하위 집합을 나타냅니다. NGS를 통해 이러한 돌연변이를 확인하면 적절한 표적 치료법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4. BRAF 돌연변이BR.. 더보기 [폐암] 폐암 치료, 유전자 이해로 더 나은 길 열다 폐암 치료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통한 표적치료로 새로운 지평을 열었습니다. 특히, EGFR 유전자의 다양한 변이를 이해하면서 치료 효과를 높이고 내성을 극복하는 전략으로 폐암을 치료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표적항암제의 표적이되고 표적항암제의 효과에 영향을 주는 분자생물학적인 변이 항목들에 대해서 정리를 해 보았습니다. EGFR 유전자 다양성과 표적치료 L858R 및 Exon19 삭제 1세대 표적항암제 (erlotinib, gefitinib)에 높은 민감성을 보임. T790M 돌연변이 2세대 표적항암제 (osimertinib)로 내성 극복 가능. Exon20 삽입 독특한 돌연변이로, 표적치료 어려움. EGFR 유전자 변이에 따라 1세대 (erlotinib, gefitinib), 2세대 (afatinib, da.. 더보기 [폐암] 폐암은 어디로 전이가 되나요? 전이란 암세포가 원래의 종양에서 떨어져 다른 부위에 새로운 종양을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전이가 되면 4기 폐암으로 분류되며, 수술 이외 항암치료 방사선 치료등 다양한 치료법이 필요합니다. 폐암이 가장 자주 전이하는 부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림프절 전이 폐암은 먼저 폐 내부나 기도 주변의 림프절로 전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림프절은 몸 안에 흩어져 있는 작은 장기로,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합니다. 림프절로의 전이는 2기 폐암이나 제한성 소세포 폐암으로 분류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증상이 없을 수 있습니다. 만약 치료를 하지 않으면, 암은 먼 림프절이나 다른 장기로 전이될 수 있는데, 이 단계는 4기 비소세포 폐암이나 광범위성 소세포 폐암으로 분류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목이나 겨드랑이에.. 더보기 이전 1 ··· 8 9 10 11 12 다음